BACK TO LIST
PREV NEXT
동두천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 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
조감도2.jpg
위치 : 경기도 동두천시
면적 : 351.6㎡
프로그램 : 청소년카페, 댄스연습실, 노래방, 놀이실, 다목적실, 동아리실, 사무실 등
설계 기간 : 2024. 1 - 2024. 4
시공기간 : 2024. 5 - 2024. 10
클라이언트 : 동두천시 가족지원과
설계 담당 : 고건수, 서민우, 지정우, 부지희, 오은혜
소요산과 마차산 사이를 남북으로 길게 흐르는 신천을 따라 자리 잡은 동두천은 한국전쟁 후 미군 부대가 주둔하며 7~80년대 경제 문화적 풍요를 누렸다. 미군과 시민들은 캠프의 담을 마주하고 서로 만났다.
하지만 2006년 이후 기지가 단계적으로 이전하는 데 반해 캠프 반환은 늦어지면서 담은 소통이 끊어진 물리적인 차가운 벽으로 남게 되었다. 동시에 미군부대 영향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전체적인 개념은 소통이 끊어진 단절의 벽이 아닌 서로 소통하는 매개체로 담, 청소년들이 다양한 이야기를 작당하는 문화기지, 직선적 도시 속에서 정체성을 유지하는 자연적 곡선의 힘, 동두천 도시브랜드인 DDC와의 연결을 담아 "동두천의 고유성을 담은 청소년 미래기지"로 설정했다. 
Dongducheon, located along the Sincheon River that flows north-south between Soyosan and Machasan, enjoyed economic and cultural prosperity in the 1970s and 1980s as US troops were stationed there after the Korean War. US troops and citizens met each other across the camp walls. However, since 2006, the base has been gradually relocated, while the return of the camp has been delayed, leaving the walls as cold physical walls with no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various cultures coexist due to the influence of US military bases. The overall concept is to establish the walls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rather than a wall of isolation with no communication, a cultural base where youth create various stories, the power of natural curves that maintain identity in a linear city, and a connection with DDC, the Dongducheon city brand, as a "youth future base containing the uniqueness of Dongducheon."
IMG_9857.jpg
IMG_9920.jpg
IMG_9886.jpg
IMG_9912.jpg
IMG_9846.jpg
IMG_9882.jpg
IMG_9928.jpg
IMG_9812.jpg
IMG_9815.jpg
IMG_9934.jpg
조감도1.jpg
투시도4.jpg
투시도2(0001).jpg
투시도3.jpg
투시도1.jpg
concept(0001).jpg
#이유에스플러스건축사사무소 #EUS+Architects #EUSPLUSARCHITECTS #건축 #동두천 #청소년문화의집 #동두천청소년문화의집 #동두천복합문화센터 #청소년공간디자인 #청소년센터 #동두천담 #동두천시 #동두천복지공간 #동두천가족지원과 #다음세대공간 #청소년공간인테리어 #고건수 #서민우 #지정우 #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