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어린이도서관 '삼삼오오'의 주변에는 대규모 주택단지 및 저층 주거단지 밀집 지역에 위치하며 죽림공원, 하금어린이공원, 신송어린이공원와 같이 중소규모 어린이공원과 근린공원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안심산에서 시작하여 여자만으로 흐르는 죽림천은 대상지 서측에 면하여 흐르고 있다. 도로를 따른 도시축과 사선으로 형성된 자연축 그리고 동측에 위치한 고층의 주거단지의 주변 환경 맥락을 고려하여 배치 계획을 진행하였다. 도서관 공간은 도시 컨텍스트부터 건축, 실내계획의 통합이 이루어졌으며 각층마다 여러가지 공간을 경험 할 수 있도록 매스를 셋백하여 테라스를 계획하고 시계탑과 브릿지를 설치하여 입체적이고 상징적인 형태로 디자인을 하였다. 각층은 모두 방으로 막힌 구조가 아닌 느슨한 영역으로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영역별 구조로 구성되었다. 어린이 각자의 호기심을 존중하고 탐험을 지원하는 실내외 공간의 요소를 두어 건축과 어울리면서 어린이들에게 주도적 선택권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하였다. 도서관의 명칭인 '삼삼오오'의 초성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에게 직관적인 도형으로 공간적 개념을 표현하였으며 여수의 초성인 ㅇㅅ과도 연관이 있고, 어린이들이 서로서로 모인다는 가치를 담은 건축, 공간 디자인을 이끌어냈다. 여수의 섬들이 모인것과 어린이들이 둘러앉은 모습을 표현했으며 어린이들이 평소 생활하는 사각형 공간들과 다른 공간감을 지닌 곳이라는 의미도 지녔다. ㅅㅅㅇㅇ의 삼각형과 원형을 로고 패턴화 하여 공간의 곳곳에 배치하고 실별 공간 이름도 "ㅅ"과 "ㅇ"을 활용하여 재미있는 공간 브랜딩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