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LIST
PREV NEXT
JEONGMOK LIBRARY
Where stories grow like trees
IMG_1864.jpg
정목초 꿈담도서관 '별오름도서관'
면적: 370㎡
설계기간: 2024.04 ~ 2024.12
시공기간: 2025.01 ~ 2025.02
클라이언트: 서울시교육청, 정목초등학교
시공사: 지음건축디자인
설계 및 감리팀 : 서민우, 지정우, 고건수, 부지희, 김다은, 신가영
정목초등학교 ‘별오름 도서관’은 서울정목초등학교의 기존 도서관을 학생들이 책과 놀이, 쉼과 창작을 넘나들며 자유롭게 머물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한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입니다. 지하에 위치해 접근성과 공간 활용도가 낮았던 기존 도서관은, 학생·교직원·학부모와 함께한 설문과 워크숍을 통해 ‘놀러 가는 도서관’이라는 콘셉트로 새롭게 기획되었습니다.

전체 디자인은 학교를 상징하는 느티나무에서 모티브를 얻어, 곧게 뻗은 수직의 기둥형 서가를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안정감과 집중감을 주는 공간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반복되는 수직 요소는 책과 사람이 함께 자라는 풍경을 상징하며, 마치 숲 속 나무 사이를 거니는 듯한 감각을 전합니다. 책을 읽는 고정된 공간을 넘어, 앉고, 누워보고, 올라가며 노는 6개의 공간 풍경이 도서관 전역에 펼쳐집니다. 별오름 도서관은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과 시선을 담아내며, 학교 속에서 자유롭게 빛날 수 있는 별 하나의 자리가 되어 줍니다.
20250528_154509(0001).jpg
공간의 중심에는 마을 사람들의 기억 속 오래된 느티나무 정자에서 착안한 원형 독서공간이 자리하며, 그 주위를 감싸는 책가로는 수직의 흐름을 따라 책의 숲을 형상화합니다. 이는 올곧게 자라나는 존재들을 위한 상징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책장을 낮춰 시야를 열고, 서로의 시선과 동선이 자연스럽게 교차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0250228_153136.jpg
IMG_1871.jpg
IMG_1878.jpg
IMG_1852.jpg
일방적인 동선을 따라 움직이는 구조에서 벗어나, 놀이하듯 유연한 마음으로 공간을 경험하고, 각자의 리듬에 따라 탐색하고 머물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기존 도서관이 기능과 규율 중심의 구조였다면, 이곳은 책을 읽는 방식조차 자유로울 수 있도록 열려 있습니다. 공간 전체는 특정 중심 없이 흐르듯 연결되고, 머무는 이의 선택에 따라 다채롭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IMG_1837.jpg
20250528_155234.jpg
20250228_145856.jpg
20250228_141445.jpg
도서관 남측 창가를 따라 배치된 저학년용 스탠드는 낮은 책장과 창밖 풍경이 어우러진 조용한 독서 공간입니다. 저학년 학생들이 바닥에 앉거나 낮은 스탠드에 기댄 채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바깥의 햇살과 풍경이 자연스럽게 들어오는 따뜻한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이 스탠드 공간은 책과의 첫 만남을 시작하는 저학년 학생들에게 편안한 진입 장벽이 되어줍니다. 인접한 메이커스페이스는 책과 연계된 만들기, 그리기, 토론, 전시 활동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실습형 공간입니다. 모둠학습실과 연결되어 넓게 확장 사용이 가능하며, 삼각형 모듈형 책상과 이동식 가구를 활용해 다양한 교육 활동을 수용합니다. 이 공간은 조용한 독서에서부터 창작과 전시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이 도서관을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별오름 도서관의 창의적 중심지입니다.
20250528_155302.jpg
20250528_154627.jpg
20250528_153809.jpg
20250228_150847.jpg
IMG_1865.jpg
IMG_1841.jpg
IMG_1894.jpg
IMG_1860.jpg
A_조감도(수정).png
6_전체투시.png
11_복도.png
9_교실.png
10_저학년.png
12_투시.png
14_투시.png
PPT2.PNG
PPT1.PNG
IMG_8239.jpg
IMG_8237.jpg
IMG_8250.jpg
#별오름도서관 #서울정목초등학교 #꿈담도서관 #학교공간혁신 #놀러가는도서관 #아동친화공간 #참여형설계 #도서관리모델링 #수직서가 #느티나무도서관 #학교건축 #창의적인배움 #책과놀이터 #복합학습공간 #아이중심디자인 #교육공간디자인 #학교도서관혁신 #상상하는도서관 #감성도서관 #EUS플러스건축사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