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LIST
PREV NEXT
GONG-GAK CLASSROOM
New Prototype Classroom
November 2021
8[크기변환]2-1(6).jpg
공근초 ‘공근감각’ 5,6학년 교실 학교혁신
Location: Gangwon-do, Korea
Material: PlyWood / Steel / Expanded Metal Ceiling
Design Period: April, 2021 - July, 2021
Client: Gangw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Gonggeun Elementary School
설계담당 : 서민우, 지정우, 고건수, 이소림, 박다혜

* 2022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장려상 수상 *
* 강원도 우수교육시설 교육감 상 *

공근초등학교 '공각'은 강원도 횡성에 위치한다. 학교 주변에는 우뚝 솟아서 크기와 위용을 자랑하는 독재봉이 있으며 깨끗하고 맑은 금계천이 마을을 감싸 안고 있다. 산의 형상과 내천의 흐름이 이곳에 거주하는 아이들의 삶에 깊은 영향을 끼치며 공근 초등학교만의 감각을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또한, 공근 초등학교의 입면은 다양한 매스와 각도로 이루어져있으며 이것은 공근 초등학교만의 아이덴티티를 가진다. 이유에스플러스건축은 총 2개 층의 꿈담 교실을 설계하여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쉴 수 있고 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설계했다. 1층은 5,6학년 교실, 공각 아고라 등으로 이루어지며 2층은 도서관, 동아리존, 계단식 무대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11(5).jpg
[크기변환]1F_1F-min(1).jpg
12[크기변환]2-1(2).jpg
14[크기변환]2-1(1).jpg
[크기변환]EUS+56_AGORA10.jpg
4[크기변환]2-1(8).jpg

1층에는 5,6학년 교실이 함께 위치한다. 1층 복도와 교실의 확장과 통합을 위하여, 기존의 학교 모양인 육각형 광장을 '공각 아고라'로 설계해 아이들이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교실 사이에는 '공각 마루'가 있는데, 폴딩 도어를 열면 공각 아고라로 영역이 확장되면서 공연이나 강연을 할 수 있는 넓은 광장이 조성된다. 이분법적인 영역 구성에서 다차원적인 공간 구성으로 반전을 꾀했다. 뿐만 아니라 복도와 공각 마루쪽으로 픽스창이 5,6학년 교실 각각에 있으며, 이것은 시각적으로 공간을 통일해주면서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준다. 

8[크기변환]2-1(7).jpg
5[크기변환]2-1(7).jpg
10[크기변환]2-1(7).jpg
9[크기변환]2-1(4).jpg
1[크기변환]2-1(8).jpg
17(1).jpg
3(1).png
16(3).jpg

우리나라의 학교 복도는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공부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는 어려운 상황이다. 공근 초등학교 꿈담교실은 공부와 놀이만 있는 곳이 아니라, 아이들의 삶과 이야기가 펼쳐지는 곳으로 탈바꿈했다. 

2[크기변환]2-1(7).jpg
3[크기변환]2-1(9).jpg
Enscape_2021-04-30-15-21-32.png

#이유에스플러스건축사사무소 #이유에스플러스 #건축사사무소 #EUSPLUSARCHITECTS #EUSPlusArchitects #서민우 #지정우 #건축가 #횡성공근초등학교 #공근초등학교 #공근초 #공근감각 #공각 #꿈담교실 #학생참여워크샵 #참여워크샵 #참여워크숍 #개방형교실 #강원도학교공간혁신 #놀이공간디자인 #강원도 #강원도횡성 #학교공간혁신 #참여건축 #서민우 #지정우